대한민국은 경제적·문화적 강국으로 자리 잡으면서 혁신적인 기술력과 높은 국제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적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계의 관심도 받고 있다. 특히 저출산 문제와 미래 인력 구조 변화에 직면한 한국 정부는 오랜 기간 추진해 온 고등교육의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Study Korea 300K 프로젝트’와 같은 국가 차원의 유학생 유치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을 찾는 외국 유학생 수가 급증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주로 아시아권 학생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유럽, 특히 이탈리아 학생들에 대한 교류 현상은 상대적으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탈리아 학생들이 지리적·문화적으로 상이한 한국을 유학지로 선택하는 주된 동기가 무엇인지, 한국학 비전공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결심한 구체적 이유는 무엇인지, 한국에서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유학 경험이 향후 학업이나 진로 계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했다. 이 연구는 이탈리아 학생들의 유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푸시-풀(push-pull)’ 요인과 한국의 ‘소프트 파워’ 매력을 이론적 틀로 삼아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양적 및 질적 접근을 결합한 혼합 연구 방법을 채택했다. 먼저, 한국에서 유학 중인 이탈리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동기, 기대, 어려움, 미래 계획 등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얻었다. 양적 자료는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했고, 질적 응답은 각자의 개별 경험을 통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6명의 학생을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깊이 있는 관점을 확보했다. 이러한 포괄적 접근은 이들의 국제 교육 경험과 미래 포부의 다면성을 포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이탈리아 학생들의 한국 유학 경험이 한류를 통한 문화적 매력뿐 아니라 실질적인 학업 및 경력 목표와 맞물려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경험은 한국의 교육 및 생활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단순한 문화 소비를 넘어선 유학 동기를 확인해 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탈리아 교육기관에는 보다 효과적인 사전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한국 교육기관에는 서구권 학생들을 위한 사회적 통합 지원, 맞춤형 진로 상담 서비스 확대, 장기적으로는 우수 외국인 인재 유치를 위한 근로 환경 및 사회적 포용성 개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지적된 바 있는 ‘경유지’로서의 한국 인식 및 졸업 후 해외로의 인재 유출 가능성은, 본 연구에서 학생들이 언급한 노동문화에 대한 우려와 맞물려 한국의 인재 유치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을 통해 국제 학생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에 특정 국가 출신 학생들의 미시적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상호문화 이해 증진과 효과적인 국제 교육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앞으로 한국 정부와 대학의 정책과 지원 체제에 유효한 조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emerged as a new influential economic and cultural power, South Korea’s international appeal has rapidly extended into the academic sphere. Considering the government’s efforts to position the country as one of the top 10 study abroad destinations by 2027,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s constantly updated. Nevertheless, most studies often focus solely on the large percentage of Asian students, particularly Chinese and Vietnamese, creating a significant gap regarding European—and specifically Italian—exchange students. This thesis directly addresses this gap,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gather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52 Italian student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elected participants. This mixed-methods approach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talian students’ short-term exchange experienc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ir motivations, expectations, challenges, and post-study choices. The study indicates that Italian students are primarily drawn to South Korea by its unique cultural offerings, while career aspirations act as a prominent secondary motivator. The research also identifies their distinct challenges, including difficulties with social integration due to language barriers and contrasting social norms, as well as adapting to a demanding academic workload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insights, the thesis provides concrete institutional advice for both Italian and Korean institutions, emphasizing enhanced pre-departure preparation and tailored support syste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mportantly, the findings also highlight a significant talent retention challenge, as Italian students' long-term career ambitions in Korea are often tempered by perceptions of the demanding work culture.
Italian Students in South Korea: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hort-term Experiences and Their Impact on Academic and Career Choices
DOLCI, ALESSANDRA
2024/2025
Abstract
대한민국은 경제적·문화적 강국으로 자리 잡으면서 혁신적인 기술력과 높은 국제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적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계의 관심도 받고 있다. 특히 저출산 문제와 미래 인력 구조 변화에 직면한 한국 정부는 오랜 기간 추진해 온 고등교육의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Study Korea 300K 프로젝트’와 같은 국가 차원의 유학생 유치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을 찾는 외국 유학생 수가 급증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주로 아시아권 학생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유럽, 특히 이탈리아 학생들에 대한 교류 현상은 상대적으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탈리아 학생들이 지리적·문화적으로 상이한 한국을 유학지로 선택하는 주된 동기가 무엇인지, 한국학 비전공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결심한 구체적 이유는 무엇인지, 한국에서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유학 경험이 향후 학업이나 진로 계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했다. 이 연구는 이탈리아 학생들의 유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푸시-풀(push-pull)’ 요인과 한국의 ‘소프트 파워’ 매력을 이론적 틀로 삼아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양적 및 질적 접근을 결합한 혼합 연구 방법을 채택했다. 먼저, 한국에서 유학 중인 이탈리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동기, 기대, 어려움, 미래 계획 등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얻었다. 양적 자료는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했고, 질적 응답은 각자의 개별 경험을 통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6명의 학생을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깊이 있는 관점을 확보했다. 이러한 포괄적 접근은 이들의 국제 교육 경험과 미래 포부의 다면성을 포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이탈리아 학생들의 한국 유학 경험이 한류를 통한 문화적 매력뿐 아니라 실질적인 학업 및 경력 목표와 맞물려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경험은 한국의 교육 및 생활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단순한 문화 소비를 넘어선 유학 동기를 확인해 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탈리아 교육기관에는 보다 효과적인 사전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한국 교육기관에는 서구권 학생들을 위한 사회적 통합 지원, 맞춤형 진로 상담 서비스 확대, 장기적으로는 우수 외국인 인재 유치를 위한 근로 환경 및 사회적 포용성 개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지적된 바 있는 ‘경유지’로서의 한국 인식 및 졸업 후 해외로의 인재 유출 가능성은, 본 연구에서 학생들이 언급한 노동문화에 대한 우려와 맞물려 한국의 인재 유치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을 통해 국제 학생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에 특정 국가 출신 학생들의 미시적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상호문화 이해 증진과 효과적인 국제 교육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앞으로 한국 정부와 대학의 정책과 지원 체제에 유효한 조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File | Dimensione | Formato | |
---|---|---|---|
Master Thesis 872748 Alessandra Dolci PDF-A.pdf
non disponibili
Dimensione
980.76 kB
Formato
Adobe PDF
|
980.76 kB | Adobe PDF |
I documenti in UNITESI sono protetti da copyright e tutti i diritti sono riservati, salvo diversa indicazione.
https://hdl.handle.net/20.500.14247/25661